맨위로가기

데블스 에드버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블스 에드버킷은 1997년에 개봉한 미국의 초자연 스릴러 영화로, 플로리다 출신의 유능한 변호사 케빈 로맥스가 뉴욕의 대형 로펌에서 일하게 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는 존 밀턴의 소설과 실낙원 등에서 영감을 받아 물질만능주의, 법조 윤리, 자유 의지 등의 주제를 다루며, 알 파치노가 사탄 역을 맡아 강렬한 연기를 선보였다.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지만, 파치노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일러 핵퍼드 감독 영화 - 레이 (영화)
    영화 《레이》는 레이 찰스의 삶을 다룬 전기 영화로, 그의 음악적 성공, 개인적 시련, 사회적 영향력을 그리며, 제이미 폭스가 레이 찰스 역을 맡아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테일러 핵퍼드 감독 영화 - 백야 (1985년 영화)
    테일러 해크포드 감독의 영화 《백야》는 소련에 불시착한 발레 무용수 니콜라이 로드첸코가 탭댄스 무용가 레이먼드 그린우드를 만나 탈출을 계획하는 이야기로, 냉전 시대 배경 속에서 자유를 향한 갈망과 두 망명자의 우정을 그린 작품이다.
  • 법정 스릴러 영화 - 펠리칸 브리프
    존 그리샴의 소설을 원작으로 앨런 J. 퍼큘라 감독이 연출하고 줄리아 로버츠와 덴젤 워싱턴이 주연을 맡은 영화 《펠리칸 브리프》는 대법관 암살 사건의 배후를 파헤치는 법대생과 기자의 이야기를 그린 정치적 스릴러이다.
  • 법정 스릴러 영화 - 의혹 (1990년 영화)
    스콧 투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앨런 J. 파큘라가 감독한 영화 《의혹》은 살인사건 용의자로 지목된 검사 러스티 사비치(해리슨 포드)와 정의감과 출세욕 사이에서 갈등하는 검사 캐럴린 폴헤이머스(그레타 스카키)를 중심으로 법조계의 어두운 면과 인간의 욕망을 긴장감 넘치게 그려낸 법정 스릴러 영화이다.
  • 타임 루프 영화 - 트라이앵글 (2009년 영국 영화)
    《트라이앵글》은 2009년 영국 영화로, 요트 여행 중 폭풍을 만나 의문의 유람선에 승선한 싱글맘 제스가 반복되는 시간 속에서 죽음을 목격하고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타임 루프 영화 - 팜스프링스 (영화)
    2020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공개된 영화 《팜스프링스》는 팜스프링스의 결혼식에서 시간 루프에 갇힌 남녀의 이야기를 다룬 미국의 SF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맥스 바바코우가 감독하고 앤디 시아라가 각본을 썼으며 앤디 샘버그, 크리스틴 밀리오티, J. K. 시먼스 등이 출연하여 Hulu 스트리밍 기록을 경신하고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데블스 에드버킷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테일러 핵포드
프로듀서아논 밀천
아놀드 코펠슨
앤 코펠슨
각본조나단 렘킨
토니 길로이
원작앤드루 네이더먼의 《악마의 변호인》
출연키아누 리브스
알 파치노
샤를리즈 테론
제프리 존스
주디스 아이비
크레이그 T. 넬슨
음악제임스 뉴턴 하워드
촬영안제이 바트코비악
편집마크 워너
스튜디오리젠시 엔터프라이즈
코펠슨 엔터테인먼트
배급사워너 브라더스
일본 헤럴드 영화
개봉일1997년 10월 17일
상영 시간144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5700만 달러
흥행 수익1억 5300만 달러

2. 줄거리

플로리다의 젊고 유능한 변호사 케빈 로맥스(키아누 리브스)는 연승 가도를 달리며 명성을 얻는다. 아동 성추행범을 변호하여 무죄를 받아낸 후, 그는 뉴욕의 거물급 로펌 대표 존 밀턴(알 파치노)에게 스카우트되어 아내 메리 앤(샤를리즈 테론)과 함께 화려한 맨해튼 생활을 시작한다.

케빈은 로펌에서 승승장구하지만, 성공에 대한 끝없는 야망과 밀턴의 영향력 아래 점차 윤리적 가치관이 흔들리고 일에 중독되어 아내에게 소홀해진다. 메리 앤은 낯선 환경과 남편의 변화 속에서 극심한 고립감과 정신적 고통을 겪으며 환각악몽에 시달리게 된다. 케빈은 아내의 고통을 외면하고 자신의 성공만을 추구하며, 심지어 유죄임을 아는 의뢰인을 변호하는 등 도덕적으로 타락해간다.

일련의 기이한 사건들과 주변 인물들의 죽음을 겪으며 케빈은 점차 밀턴의 정체에 의문을 품게 된다. 결국 메리 앤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고, 케빈은 밀턴이 인간의 허영심과 욕망을 이용하는 악마(사탄)이며 자신의 아버지라는 충격적인 진실과 마주한다. 밀턴은 케빈에게 적그리스도를 낳을 것을 요구하며 유혹하지만, 케빈은 마지막 순간 자유의지로 자살을 선택하여 악의 계획을 막아선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환상이었고, 케빈은 다시 플로리다의 법정, 처음 변호를 포기할 기회가 있었던 순간으로 돌아온다. 그는 이전과는 다른 선택을 하여 변호사 자격 박탈을 감수하고 부도덕한 변호를 거부한다. 하지만 영화는 케빈이 명성이라는 또 다른 형태의 허영심의 유혹에 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인간의 나약함과 끝나지 않는 악의 유혹을 암시하며 마무리된다.

2. 1. 플로리다에서의 성공과 뉴욕으로의 스카우트

케빈 로맥스(키아누 리브스)는 플로리다 게인즈빌 출신의 젊고 유능한 형사 변호사로, 단 한 번도 재판에서 패소한 경험이 없는 연승 기록을 이어가고 있었다. 그는 아동 성추행 혐의로 기소된 교사 로이드 게티스를 변호하게 되는데,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의뢰인이 유죄임을 확신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빈은 승리를 위해 피해 아동에게 혹독한 반대 심문을 가해 증언의 신빙성을 무너뜨리고, 결국 게티스의 무죄 판결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그의 뛰어난 능력과 성공은 뉴욕의 거대 로펌의 주목을 받게 된다.

게티스 재판에서 승소한 밤, 뉴욕의 대형 로펌 소속 변호사가 케빈을 찾아와 배심원 선정 관련 자문을 의뢰한다. 이 일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로펌의 대표인 존 밀턴(알 파치노)은 케빈에게 직접 높은 연봉과 화려한 맨해튼에서의 생활을 보장하며 스카우트를 제안한다. 케빈은 이 제안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아내 메리 앤(샤를리즈 테론)과 함께 뉴욕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독실한 기독교 근본주의 신자인 어머니 앨리스(주디스 아이비)는 뉴욕행을 강하게 반대하며 플로리다로 돌아올 것을 간청하지만, 케빈은 어머니의 만류를 뿌리치고 뉴욕행을 강행한다. 뉴욕에 도착한 케빈은 곧바로 로펌의 일에 몰두하며 성공 가도를 달리지만, 점차 늦은 시간까지 일에 매달리게 되면서 아내 메리 앤에게 소홀해지기 시작한다.

2. 2. 뉴욕 로펌에서의 성공과 좌절

뉴욕의 한 로펌에서 케빈에게 배심원 선정을 돕도록 요청한다. 배심원단이 무죄 평결을 내린 후, 로펌의 대표인 존 밀턴은 케빈에게 높은 보수와 고급 아파트를 제공하며 일자리를 제안하고, 그는 이를 수락한다. 케빈과 그의 아내 메리 앤은 맨해튼으로 이사한다. 케빈은 곧 성공 가도를 달리지만, 점점 늦게까지 일하며 메리 앤을 소홀히 하기 시작한다. 케빈의 기독교 근본주의 신자인 어머니 앨리스는 뉴욕 방문 중 밀턴을 만난 후 불길함을 느끼고 부부에게 플로리다로 돌아갈 것을 간청하지만, 케빈은 거절한다.

케빈은 아내, 의붓아들, 하녀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억만장자 부동산 재벌 알렉스 컬린의 변호를 맡게 된다. 이 사건에 몰두하면서 케빈은 메리 앤과 더욱 멀어지고, 로펌 동료인 크리스텔라에게 성적인 환상을 품기도 한다. 한편 메리 앤은 뉴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감을 느끼며 점차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진다. 그녀는 로펌 파트너들의 아내들이 악마로 변하는 끔찍한 환영을 보고, 아기가 자신의 제거된 난소를 가지고 노는 악몽에 시달린다. 의사로부터 불임 진단을 받은 메리 앤은 케빈에게 게인즈빌로 돌아가자고 애원하지만 케빈은 이를 거절한다. 밀턴은 케빈에게 재판에서 물러나 메리 앤을 돌볼 것을 제안하지만, 케빈은 여기서 물러나면 결국 아내를 원망하게 될 것이라 생각하며 거절하고 사건에 더욱 매달린다.

로펌의 매니징 파트너인 에디 바존은 로펌 정관에서 케빈의 이름을 발견하고 그가 자신의 자리를 노린다고 의심하며 로펌의 불법적인 활동을 미국 검찰청에 폭로하겠다고 위협한다. 케빈이 이 사실을 밀턴에게 알리자 밀턴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듯 했으나, 얼마 후 에디는 센트럴 파크에서 조깅 중 노숙자들에게 구타당해 사망한다.

알렉스 컬린 사건의 재판 과정에서, 케빈은 컬린의 비서인 멜리사 블랙이 그에게 거짓 알리바이를 제공하기 위해 위증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밀턴에게 컬린이 유죄라고 생각한다고 말하지만, 밀턴은 승리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라고 부추긴다. 결국 케빈은 멜리사의 위증을 이용해 컬린의 무죄 판결을 이끌어낸다.

재판 후, 케빈은 근처 교회에서 담요에 싸여 공포에 떨고 있는 메리 앤을 발견한다. 그녀는 밀턴에게 강간당했다고 주장하며 몸에 난 상처와 긁힌 자국을 보여준다. 하지만 케빈은 밀턴이 재판 당시 자신과 함께 법정에 있었다는 것을 알기에, 메리 앤이 망상에 빠져 자해했다고 믿고 그녀를 정신 병원에 강제로 입원시킨다.

이후 미국 법무부 요원 미치 위버가 케빈에게 접근하여 밀턴이 부패했으며 위험한 인물이라고 경고한다. 또한 플로리다에서 케빈이 무죄를 받아냈던 아동 성추행범 게티스가 또다시 어린 소녀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전한다. 케빈과 대화한 직후, 위버는 의문의 교통사고로 사망한다. 비슷한 시기, 에디 바존의 장례식에 참석한 밀턴이 성수 그릇에 손가락을 담그자 성수가 끓어오르는 기이한 현상이 목격된다.

케빈과 그의 어머니 앨리스, 그리고 케빈의 사건 관리자인 팸 개러티가 정신 병원에 있는 메리 앤을 방문한다. 그러나 메리 앤은 팸을 악마로 인식하고 격렬하게 공격한 뒤, 병실 문을 잠그고 깨진 거울 조각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메리 앤이 사망한 후, 앨리스는 케빈에게 밀턴이 그의 아버지임을 밝힌다.

2. 3. 진실의 폭로와 케빈의 선택

정신 병원에 입원한 메리 앤은 케빈의 사건 관리자인 팸 개러티를 악마로 착각하여 공격하고, 방을 막아선 뒤 깨진 거울 조각으로 자살한다.[1] 이후 케빈의 어머니 앨리스는 존 밀턴이 바로 케빈의 아버지임을 밝힌다.[1]

모든 일의 원흉이 밀턴이라 확신한 케빈은 밀턴의 사무실로 찾아가 총을 겨누며 그를 추궁한다. 밀턴은 메리 앤을 강간했음을 인정하며,[1] 케빈이 쏘는 총알에도 전혀 해를 입지 않고 자신이 사탄임을 드러낸다.[1] 케빈은 자신이 밀턴에게 조종당했다고 생각하지만, 밀턴은 자신은 단지 "무대를 설정했을 뿐"이며 아내를 소홀히 하고 유죄인 의뢰인을 변호하기로 선택한 것은 결국 케빈 자신의 허영심 때문이었다고 반박한다.[1] 케빈은 대가에 상관없이 항상 이기기만을 원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밀턴은 케빈의 이복 여동생인 크리스타벨라(코니 닐센)를 등장시키며, 케빈과 그녀 사이에서 적그리스도를 잉태할 것을 요구한다.[1] 케빈은 잠시 밀턴의 요구에 따르는 척하다가, 갑자기 총으로 자신의 머리를 쏘아 자살한다.[1] 이 선택은 자유 의지를 행사하여 악의 계획을 좌절시킨 행위로 볼 수 있다. 케빈의 자살로 계획이 무산되자 밀턴은 분노하며 악마적인 본모습을 드러내고 크리스타벨라는 불타 죽는다.[1]

그러나 다음 순간, 케빈은 모든 것이 시작되기 전, 플로리다 게인즈빌 법정에서 로이드 게티스 교사의 재판 휴정 시간으로 돌아와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1] 이전까지의 경험은 일종의 환상 혹은 미래에 대한 경고였던 셈이다. 정신을 차린 케빈은 변호사 자격 박탈의 위험을 감수하고 의뢰인 게티스에 대한 변호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하며 다른 도덕적 선택을 내린다.[1]

법정을 나선 케빈에게 기자 래리가 접근하여 인터뷰를 제안하며 그를 유명하게 만들어 주겠다고 유혹한다. 메리 앤의 격려에 케빈은 이를 수락한다.[1] 케빈과 메리 앤이 떠나자 래리는 밀턴(사탄)으로 변신하며 제4의 벽을 깨고 관객을 향해 말한다. '''"허영심, 내가 가장 좋아하는 죄지."'''[1] 이는 케빈이 악마의 직접적인 유혹은 이겨냈지만, 허영심이라는 또 다른 유혹에는 결국 넘어갔음을 암시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2. 4. 새로운 시작과 끝나지 않은 유혹

밀턴과의 대결 이후, 케빈은 자신이 플로리다 게인즈빌 법원의 화장실에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전까지의 뉴욕에서의 경험은 모두 환상이었던 것이다. 그는 아동 성추행 혐의를 받는 교사 로이드 게티스의 재판 휴정 중이었다. 법정으로 돌아온 케빈은 아내 메리 앤이 건강하게 살아있는 모습을 확인한다. 재판이 다시 시작되자, 케빈은 변호사 자격 박탈의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의 의뢰인이 유죄임을 알기에 변호를 계속할 수 없다고 선언한다.

법정을 나온 케빈에게 기자들이 몰려든다. 그중 '래리'라는 이름의 기자가 케빈의 행동을 칭찬하며 독점 인터뷰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그를 유명하게 만들어 주겠다고 약속한다. 아내 메리 앤의 격려에 케빈은 인터뷰 제안을 수락한다.

케빈과 메리 앤이 떠난 후, 혼자 남은 래리 기자는 존 밀턴의 모습으로 변한다. 그는 제4의 벽을 깨고 관객을 향해 미소 지으며 말한다. "허영심(Vanityeng)—확실히 내가 가장 좋아하는 죄지." 이는 케빈이 한 번의 유혹을 이겨냈지만, 명성이라는 새로운 유혹에 다시 빠졌음을 암시하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3. 등장인물

케빈 로맥스 역의 키아누 리브스


메리 앤 로맥스 역의 샤를리즈 테론


배우배역비고
키아누 리브스케빈 로맥스
알 파치노존 밀턴 / 사탄
샤를리즈 테론메리 앤 로맥스
제프리 존스에디 바르존
주디스 아이비앨리스 로맥스
코니 닐슨크리스타벨라 안드레올리
크레이그 T. 넬슨알렉산더 컬렌
헤더 마타라조바바라
타마라 투니재키 히스
머피 가이어바바라의 아버지
루벤 산티아고-허드슨리먼 히스
마이클 롬바드포 판사
데브라 몽크팸 개레티
비토 루지니스미치 위버법무부 요원
로라 해링턴멜리사 블랙
파멜라 그레이다이아나 바르존
모하마드 B. 가파리 (M. B. 가파리)바시르 토아발
조지 와이너마이젤
닐 존스래리플로리다 리포터
돈 킹본인[3]
로이 존스 주니어본인크레딧 없음[4]
델로이 린도필립 모예즈크레딧 없음[5]
크리스 바우어로이드 게티스
모니카 키나알레산드라 컬렌
상원 의원 알 다마토본인[3]
하쉬 나야르파르바티 레쉬


3. 1. 주요 등장인물


플로리다 게인즈빌 출신의 젊고 유능한 형사 변호사. 한 번도 재판에서 패소한 적 없는 뛰어난 실력을 가졌지만, 승리를 위해서라면 의뢰인이 유죄임을 알면서도 변호하거나 반대 심문을 통해 피해자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등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 이러한 모습은 개인의 성공과 야망을 위해 변호사로서의 윤리와 양심을 저버리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사회적 약자를 대변해야 할 법조인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 뉴욕의 대형 로펌 대표 존 밀턴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고 맨해튼으로 이주하며 더 큰 성공을 꿈꾸지만, 점차 일에 매몰되어 아내 메리 앤을 소홀히 하고 위험한 유혹에 빠져든다. 영화 후반부에 존 밀턴의 아들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뉴욕의 거대 로펌 대표. 막대한 부와 권력을 가졌으며, 사람의 약점과 욕망을 꿰뚫어 보고 이를 이용하는 데 능숙하다. 케빈 로맥스의 재능을 알아보고 그를 스카우트하여 자신의 로펌으로 끌어들인다. 그의 정체는 인간을 타락시키려는 사탄이며, 케빈의 숨겨진 아버지이기도 하다. 알 파치노는 카리스마 넘치는 연기로 사탄의 매력과 위압감을 동시에 표현했다. 그의 이름은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에서 따온 것으로, 영화 속에서도 해당 작품의 구절 "''지옥에서 군림하는 것이 천국에서 섬기는 것보다 낫다''"가 인용된다.
케빈의 아내. 남편과 함께 뉴욕으로 이주하지만, 화려하지만 비인간적인 도시 생활과 성공에 눈이 멀어 변해가는 남편의 모습에 적응하지 못하고 외로움과 불안감에 시달린다. 점차 악마의 환영과 악몽에 시달리며 정신적으로 피폐해지고, 존 밀턴에게 강간당하는 등 끔찍한 일을 겪으며 결국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샤를리즈 테론은 순수했던 여성이 점차 파괴되어 가는 과정을 섬세한 연기로 그려냈다.

  • '''에디 바존''' (제프리 존스 분)

밀턴 로펌의 매니징 파트너. 케빈의 빠른 성공을 경계하며, 로펌 내부의 비리를 미국 검찰청에 폭로하려다 존 밀턴에 의해 제거된다. 그의 이름과 탐욕스러운 모습은 악마 벨제부브를 연상시킨다는 해석도 있다.
케빈의 어머니.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아들의 뉴욕행과 존 밀턴을 처음부터 경계하며 뉴욕바빌론에 비유한다. 과거 존 밀턴과의 사이에서 케빈을 낳았다는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

  • '''크리스타벨라 안드레올리''' (코니 닐슨 분)

밀턴 로펌 소속의 매력적인 변호사. 케빈을 유혹하며 접근하지만, 사실은 존 밀턴의 딸이자 케빈의 이복 여동생이다. 존 밀턴은 케빈과 크리스타벨라 사이에서 적그리스도를 잉태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맨해튼의 부동산 재벌. 아내와 의붓아들, 하녀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어 케빈이 변호를 맡게 된다. 케빈은 그의 유죄를 확신하면서도 무죄 판결을 이끌어낸다.

  • '''로이드 게티스''' (크리스 바우어 분)

플로리다의 학교 교사. 아동 성추행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케빈의 변호로 무죄 판결을 받는다. 하지만 이후 또 다른 어린 소녀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어 케빈에게 죄책감을 안겨준다.

3. 2. 조연


  • 제프리 존스 - 에디 바준 역. 존 밀턴이 운영하는 로펌의 관리 부장(매니징 파트너). 케빈이 자신의 자리를 위협한다고 여기고 로펌의 수상한 활동을 미국 검찰청에 알리려다 센트럴 파크에서 구타당해 죽는다.[3]
  • 주디스 아이비 - 앨리스 로맥스 역. 케빈의 어머니.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아들이 뉴욕으로 이주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기며 존 밀턴을 경계한다. 이는 세속적인 가치보다 전통적인 신앙심을 중시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다. 후에 밀턴이 케빈의 친아버지임을 밝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3]
  • 크레이그 T. 넬슨 - 알렉산더 컬렌 역. 맨해튼의 부유한 부동산 재벌. 자신의 아내, 의붓아들, 하녀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며, 케빈이 뉴욕에서 맡게 되는 주요 사건의 의뢰인이다.[3]
  • 코니 닐슨 - 크리스타벨라 안드레올리 역. 매력적인 로펌 동료 변호사. 사실은 존 밀턴의 딸이자 케빈의 이복 여동생이다. 밀턴은 케빈과 크리스타벨라 사이에서 적그리스도를 잉태시키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케빈의 자살로 실패하고 분노하며 크리스타벨라를 불태워 죽인다.[3]
  • 데브라 몽크 - 팸 개러티 역. 케빈의 사건 처리를 돕는 로펌 사무원. 정신 병원에 입원한 메리 앤을 방문했을 때, 메리 앤이 그녀를 악마로 보고 공격하기도 한다.[3]
  • 닐 존스 - 래리 역. 플로리다 시절 케빈의 친구인 신문 기자.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케빈의 영웅적인 행동을 칭찬하며 독점 인터뷰를 제안하지만, 이는 케빈의 허영심을 시험하려는 존 밀턴이 변신한 모습이었다.[3]

4. 제작

역할이름
감독테일러 핵포드
제작아논 밀천, 아놀드 코펠슨, 앤 코펠슨
각본조나단 렘킨, 토니 길로이
원작앤드루 네이더먼
제작 총지휘테일러 핵포드, 마이클 타드로스, 스티브 화이트
촬영안제이 바르트코비악
음악제임스 뉴턴 하워드
특수 분장롭 보틴


4. 1. 기획 및 각본

외젠 들라크루아가 그린 밀턴이 ''실낙원''을 받아쓰는 모습; 밀턴의 대사인 "천국에서 섬기는 것보다 지옥에서 군림하는 것이 낫다"는 대본에 사용되었다.


앤드류 네이더만은 소설 ''데블스 에드버킷''을 썼고, 1990년 사이먼 앤 슈스터에서 출판되었다. 네이더만은 자신의 이야기가 영화로 각색될 수 있다고 보고 워너 브라더스에 접근하여 "유죄인 사람들만 변호하고 결코 지지 않는 뉴욕의 한 로펌에 관한 이야기"라는 시놉시스로 성공적으로 판매 계약을 맺었다고 주장했다.[6]

''데블스 에드버킷''의 영화화를 위해 여러 각본 각색이 시도되었으며, 초기에는 조엘 슈마허가 감독을 맡고 젊은 변호사 역으로 브래드 피트가 출연할 예정이었다.[7] 슈마허는 피트가 단테의 ''신곡''에 나오는 지옥의 고리를 본뜬 뉴욕 지하철로 내려가는 시퀀스를 계획하기도 했다.[8] 그러나 사탄 역을 맡을 배우를 찾지 못해 이 프로젝트는 무산되었다.[7]

O.J. 심슨 살인 사건과 그 재판 결과는 6000만달러 예산으로 프로젝트를 재개하는 데 새로운 동기를 부여했다.[7] 워너 브라더스는 테일러 핵포드를 새로운 감독으로 고용했다.[8] 핵포드 감독은 법정 드라마 측면에 주목하며, "법정은 20세기 후반의 검투사 경기장이 되었고, 세간의 이목을 끄는 재판을 지켜보는 것은 관람 스포츠가 되었다"는 견해를 밝혔다.

토니 길로이는 핵포드의 감독 하에 각본을 상당 부분 다시 썼으며, 핵포드는 이 영화를 "현대의 도덕극"이자 "파우스트 이야기"로 구상했다.[9] 각본이 발전하면서 자유 의지가 중요한 주제가 되었고, 주인공 밀턴(사탄)이 실제로 사건을 직접 일으키지는 않는다는 설정이 강조되었다. 핵포드는 밀턴이 강도를 거부하는 바르존이나, 차도를 건너기 전 주변을 살피지 않은 오만함 때문에 사망하는 검사 위버를 직접 죽이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17]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에 나오는 "천국에서 섬기는 것보다 지옥에서 군림하는 것이 낫다"는 대사도 각본에 사용되었다.

작가들은 주인공 로맥스가 밀턴의 아들이며, 밀턴이 적그리스도를 낳으려 한다는 설정을 추가했는데, 이는 원작 소설에는 없는 내용이다. 핵포드는 적그리스도 신화를 다룬 영화 ''로즈마리의 베이비''와 ''오멘''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또한 원작 소설에서 레즈비언이었던 의뢰인 설정을 소아성애자 로이드 게티스로 변경하여 동성애 혐오적인 해석의 여지를 피하고자 했다. 초기 각본에서는 "천국에서 섬기는 것보다 지옥에서 군림하는 것이 낫다"는 대사가 로맥스가 아닌 밀턴의 대사였다.

알 파치노는 이전 각색 시도에서 악마 역할 제안을 받았으나, 캐릭터가 진부하다는 이유로 최종 수정 전까지 세 번이나 거절했다.[9][7] 그는 로버트 레드포드나 숀 코너리를 대신 추천하기도 했다.[10] 키아누 리브스는 1994년 히트작 ''스피드''의 속편인 ''스피드 2'' 출연으로 약속된 1100만달러의 출연료를 포기하고 ''데블스 에드버킷''을 선택했다.[9] 리브스 측근에 따르면, 그는 ''체인 리액션''(1996) 이후 연이어 액션 영화에 출연하는 것을 꺼렸다고 한다.[11] 또한 리브스는 제작진이 파치노의 출연료 요구를 맞출 수 있도록 자신의 출연료를 수백만 달러 삭감하는 데 동의했다.[12] 파치노는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1941년 영화 ''악마와 다니엘 웹스터''를 시청하고 월터 휴스턴의 미스터 스크래치 연기를 참고했으며, 단테의 ''지옥''과 ''실낙원''을 읽었다.[7]

덴마크 출신 배우 코니 닐슨은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 덕분에 크리스타벨라 역할로 핵포드 감독에게 발탁되었다.[17] 크레이그 T. 넬슨은 악역 알렉산더 컬린 역으로 캐스팅되었다.[17]

4. 2. 캐스팅

알 파치노는 이전에 앤드류 네이더만의 소설을 각색하려는 시도에서 악마 역할 제안을 받았으나, 캐릭터가 진부하다는 이유로 최종 수정 전 세 번이나 거절했다.[9][7] 파치노는 로버트 레드포드와 숀 코너리를 해당 역할에 추천하기도 했다.[10]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파치노는 1941년 영화 ''악마와 다니엘 웹스터''를 시청하고 월터 휴스턴의 미스터 스크래치 연기를 참고했으며, 단테의 ''지옥''과 ''실낙원''을 읽었다.[7]

키아누 리브스는 1994년 히트작 ''스피드''의 속편인 ''스피드 2'' 출연 제안(1100만달러 출연료)을 거절하고 이 영화를 선택했다.[9] 이는 리브스가 ''체인 리액션''(1996) 이후 연이어 액션 영화에 출연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11] 또한 리브스는 제작진이 파치노의 출연료 요구를 맞출 수 있도록 자신의 출연료 수백만 달러를 삭감하는 데 동의했다.[12]

덴마크 출신 배우 코니 닐슨은 여러 언어를 구사한다는 점 때문에 감독 테일러 핵포드에 의해 크리스타벨라 역으로 발탁되었다.[17] 크레이그 T. 넬슨은 악역 중 한 명으로 캐스팅되었다.[17]

4. 3. 촬영

알 파치노는 존 밀턴 역을 제안받았으나, 캐릭터가 진부하다는 이유로 세 번이나 거절했다.[9][7] 그는 대신 로버트 레드포드나 숀 코너리를 추천하기도 했다.[10] 하지만 각본이 수정된 후 최종적으로 역할을 수락했다.[9] 역할을 준비하기 위해 파치노는 1941년 영화 ''악마와 다니엘 웹스터''에서 미스터 스크래치 역을 맡은 월터 휴스턴의 연기를 참고했으며, 단테의 ''지옥''과 ''실낙원''을 읽었다.[7]

키아누 리브스는 케빈 로맥스 역을 맡기 위해, 당시 큰 성공을 거둔 영화 ''스피드''의 속편 ''스피드 2'' 출연 제안(출연료 1100만달러)을 거절했다.[9] 이는 ''체인 리액션''(1996)에 이어 또다시 액션 영화에 출연하는 것을 피하고 싶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11] 리브스는 또한 제작진이 파치노의 높은 출연료를 감당할 수 있도록 자신의 출연료를 수백만 달러 삭감하는 데 동의했다.[12]

크리스타벨라 안드레올리 역에는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덴마크 출신 배우 코니 닐슨이 테일러 핵포드 감독에 의해 발탁되었다.[17] 크레이그 T. 넬슨은 악덕 부동산 재벌 알렉스 컬린 역으로 캐스팅되었다.[17] 촬영 감독은 안제이 바르트코비악이 맡았다.

4. 4. 후반 작업

영화의 후반 작업에는 여러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특수 효과는 리처드 그린버그와 릭 베이커가 담당했으며, 제임스 뉴턴 하워드가 영화 음악 작곡을 맡았다. 또한, 롭 보틴이 특수 분장을 담당하여 영화의 시각적 완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5. 주제 및 해석

영화의 핵심 주제는 인간의 자유 의지허영심에 대한 탐구이다. 주인공 케빈 로맥스는 성공과 부에 대한 끊임없는 욕망, 즉 허영심 때문에 유혹에 넘어가고 결국 파멸 직전에 이른다. 악마 존 밀턴(알 파치노)은 케빈에게 선택지를 제시할 뿐, 최종 결정은 케빈 자신이 내린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유 의지의 중요성과 그에 따르는 책임의 무게를 보여준다.[56] 케빈이 유죄임을 알면서도 의뢰인을 변호하고(법조윤리), 아내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선택들은 모두 그의 자유 의지에 따른 결과이다. 영화는 마지막 장면에서 "허영심—확실히 내가 가장 좋아하는 죄지"라는 밀턴의 대사를 통해, 인간을 타락으로 이끄는 가장 강력한 유혹 중 하나가 허영심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이는 현대 사회의 물질만능주의와 성공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영화는 여러 고전 문학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


  • 실낙원: 악마 캐릭터 존 밀턴의 이름은 『실낙원』의 저자 존 밀턴에서 직접 따온 것이다.[56] 영화는 "지옥에서 군림하는 것이 천국에서 섬기는 것보다 낫다"는 『실낙원』의 구절을 인용하며, 신에게 반역하고 끊임없이 과소평가받는다고 불평하는 영화 속 밀턴 캐릭터는 『실낙원』의 사탄과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특히 클라이맥스에서 밀턴이 케빈에게 이복 여동생과의 근친상간을 통해 적그리스도를 낳도록 설득하는 장면은 『실낙원』의 "반역 천사들의 타락"을 연상시킨다는 해석이 있다. 이 장면에서 밀턴의 격정적인 대사는 『실낙원』 1권과 2권의 사탄의 대사를 떠올리게 한다. 또한, 밀턴이 "보기만 하고 만질 수 없는" 것을 위해 신에 대한 반역을 합리화하며 케빈을 유혹하는 것은 『실낙원』 9권에서 사탄이 이브에게 금단의 열매를 먹도록 설득하는 장면과 비교되기도 한다.

:만일 그들이 이 나무 안에 선악에 대한 지식을 가두었다면, 먹는 자는 그들의 허락 없이도 즉시 지혜를 얻을 것인가? 그리고 인간이 이렇게 알게 되는 데 무슨 잘못이 있는가?

  • 파우스트: DVD 코멘터리에서 감독 테일러 핵포드는 『실낙원』 대신 파우스트 전설을 영감으로 언급했다. 영화의 근본적인 개념은 자유 의지를 가진 인물에게 제시되는 "파우스트적인 거래"이다. 철학자 피터 반 인와겐은 케빈이 자신의 영혼을 파는 것을 고려하며 자유 의지를 "개년(bitch)"이라고 언급하는 장면이, 자유 의지의 법적 정의("강요받지 않은")를 철학적 영역으로 확장시킨다고 분석했다. 괴테의 『파우스트』처럼 영화 속 악마는 인간의 욕망과 유혹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밀턴은 케빈의 타락을 유도하기 위해 여러 매력적인 여성을 이용하며, 성관계 또는 강간은 사탄이 적그리스도를 창조하는 수단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로만 폴란스키의 1968년 영화 『로즈메리의 아기』와 유사하다. 비록 영화에서는 사탄 자신이 아닌 그의 자녀들이 적그리스도를 낳게 되지만, 밀턴은 메리 앤을 무자비하게 강간한다. 사탄의 아들과 딸 사이의 근친상간적 결합은 사탄의 유전자를 더 많이 물려받은 적그리스도를 탄생시키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 신곡: 단테의 『신곡』은 영화의 시각적 표현에 영향을 미쳤다. 단테 연구가 아밀카레 A. 이안누치는 영화의 줄거리가 『신곡』의 구조를 따르며, 케빈이 유죄인 의뢰인을 변호하며 양심을 잃고 '어두운 숲'(selva oscura|셀바 오스쿠라ita)에서 시작하여 지옥의 더 깊은 고리들로 내려간다고 해석한다. 그는 밀턴의 로펌 건물 구조, 예를 들어 끊임없이 불타는 벽난로, 악마적인 환영, 밀턴 사무실 밖의 물 등을 단테의 사탄이 거주하는 얼음 지옥(단, 영화에서는 지옥의 맨 아래가 아닌 꼭대기에 위치)과 연결 짓는다. 『신곡』의 주요 주제인 자유 의지는 영화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며, "만약 현재 세상이 길을 잃었다면, 그 원인은 너에게 있으며, 너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연옥』 16장 82-83행의 구절은 영화의 메시지와 유사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교적 상징과 암시가 영화 곳곳에 나타난다.

  • 케빈의 어머니 앨리스는 뉴욕을 현대의 바빌론으로 묘사하며 요한계시록 18장을 인용한다.

:큰 바빌론이 무너졌고, 무너졌으니, 귀신들의 처소와 온갖 더러운 영의 우리와, 모든 더럽고 미운 새의 우리라!

  • 밀턴이 케빈을 부와 명예로 유혹하는 모습은 성경에 나오는 예수의 유혹 이야기를 연상시킨다.
  • 등장인물의 이름에도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는 해석이 있다. 밀턴의 희생양이 되는 순결한 인물 메리 앤(샤를리즈 테론)은 성모 마리아와 연결되며, 케빈의 이복 여동생이자 유혹의 대상인 크리스타벨라(코니 닐슨)의 이름은 문자 그대로 "아름다운 그리스도"를 의미하여 아이러니를 더한다. 로펌의 파트너 에디 바준(제프리 존스)의 이름과 탐욕스러운 성격은 악마의 왕자 벨제부브를 연상시킨다는 시각도 있다.
  • 영화 제목 '데블스 에드버킷'(The Devil's Advocate|데블스 에드버킷eng)은 가톨릭 교회에서 시성(諡聖) 과정 중 후보자의 약점을 지적하는 역할을 맡았던 악마의 변호인(Devil's Advocate)이라는 직책과, 주인공 케빈의 직업인 변호사를 동시에 의미한다.
  • 밀턴이 값비싼 옷을 입은 성공한 사업가(CEO)의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은, C. S. 루이스의 1942년 소설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등 이전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나타난 사탄의 현대적 형상화와 맥을 같이 한다.

6. 평가

영화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45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67%의 지지율을 얻었다.

7. 논란

영화 개봉 후, 작중 존 밀턴의 아파트에 장식된 인체를 본뜬 조각이 워싱턴 D.C.워싱턴 국립 대성당에 전시된 프레데릭 하트의 조각 작품 ''무에서''(Ex nihiloeng)와 매우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이어졌다.[54]

이 소송은 연방 법원에서 다루어졌으며, 판결이 내려질 때까지 영화의 비디오 출시가 연기되는 결과를 낳았다. 최종적으로 워너 브라더스 측은 비디오를 재출시할 때 해당 장면의 영상을 편집하는 것에 동의했다. 또한, 소송 이전에 이미 제작된 비디오테이프에는 "이 영화에 등장하는 조각과 하트의 저작물은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스티커를 부착하기로 합의했다.[55]

8. 한국어 더빙

9. 기타


  • 원작: 앤드루 네이더먼
  • 감독: 테일러 핵포드
  • 각본: 조나단 렘킨, 토니 길로이
  • 제작: 아논 밀천, 아놀드 코펠슨, 앤 코펠슨
  • 제작 총지휘: 테일러 핵포드, 마이클 타드로스, 스티브 화이트
  • 공동제작: 스티븐 브라운
  • 촬영: 안제이 바르트코비악
  • 미술: 브루노 루베오
  • 음악: 제임스 뉴턴 하워드
  • 의상: 주디아나 마코브스키
  • 특수효과: 리처드 그린버그, 릭 베이커
  • 특수 분장: 롭 보틴
  • 배역: 낸시 클로퍼, 메리 콜크호운
  • 앨 파치노가 연기한 존 밀턴 역할의 이름은 실낙원의 저자인 존 밀턴에서 가져왔다[56]. 이는 실낙원에 등장하는 "천국에서 섬기는 것보다 지옥에서 군림하는 것이 낫다"(Better to reign in Hell, than to serve in Heaven영어)라는 구절을 암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18)" https://www.bbfc.co.[...]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1997-10-31
[2]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1997) https://www.the-numb[...] Nash Information Services, LLC
[3] 웹사이트 "Review: 'The Devil's Advocate'" https://variety.com/[...] 1997-10-10
[4] 웹사이트 Filmmaker brings stories and opportunities back home http://www.post-gaze[...] 2009-09-23
[5] 웹사이트 "Pacino Steals the Show in 'Advocate'" https://www.thecrims[...] 1997-10-24
[6] 웹사이트 Author Andrew Neiderman enjoys literary, TV success https://www.desertsu[...] 2014-05-23
[7] 웹사이트 "Jumping into the Fire: In 'Advocate,' Al Pacino takes a walk on the dark side. Luckily, he's no stranger to these mean streets" https://www.latimes.[...] 1997-10-15
[8] 웹사이트 "On Pacino Film, They're Having Devil of a Time" https://www.latimes.[...] 1996-11-27
[9] 웹사이트 "Eye On Evil In 'Devil's Advocate,' Taylor Hackford Takes Satan To Court" http://www.nydailyne[...] 1997-02-16
[10] 웹사이트 See the Cast of 'The Devil's Advocate' then and Now https://screencrush.[...] 2014-02-22
[11] 간행물 'Speed' bump 1996-06-14
[12] 웹사이트 Keanu Gives Up 'Matrix' Money https://abcnews.go.c[...] 1999-09-10
[13] AV media The Devil's Advocate Warner Home Video 1998
[14] 웹사이트 This Oscar-winning director reveals the secrets of working with De Niro and Pacino http://www.businessi[...] 2017-02-01
[1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Bergen County Courthouse https://www.bcsd.us/[...] Bergen County Sheriff's Office 2017
[16] 웹사이트 "'Devil's Advocate' brings Keanu Reeves to Florida" http://jacksonville.[...] 1997-07-06
[17] AV media The Devil's Advocate audio commentary Warner Home Video 1998
[18] 뉴스 Theron Thrown Out Of America While Filming Devil's Advocate https://www.contactm[...] 2009-09-16
[19] AV media The Devil's Advocate Warner Home Video 1998
[20] 간행물 His effects are truly special 2000-03
[21] 웹사이트 "'Halloween,' 'Saw II' And The 10 Biggest Horror Hits of October" https://www.forbes.c[...] 2015-10-13
[22]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Blu-ray) https://www.dvdtalk.[...] 2012-09-22
[23] 웹사이트 "'I Know What You Did' Scares Up Big Box Office" https://www.latimes.[...] 1997-10-20
[24] 뉴스 Sculptor, Cathedral Sue Over Movie's Art https://www.washingt[...] 1997-12-06
[25]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1997) https://boxofficemoj[...]
[26]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1997) https://rottentomato[...] Flixster 1997-10-17
[27]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reviews CBS Interactive
[28] 웹사이트 Find CinemaScore https://www.cinemasc[...] CinemaScore
[29] 웹사이트 Devil's Advocate Sun-Times Media Group 1997-10-17
[30] 뉴스 "Film Review; Joining Evil, Esq., At Satan & Satan" 1997-10-17
[31] 간행물 Satan Place New York Media 1997-10-27
[32] 간행물 Satanic versus https://ew.com/artic[...] Meredith Corporation 1997-10-24
[33] 간행물 Best & Worst / Movie Campaigns http://ew.com/articl[...] 1997-12-26
[34] 웹사이트 "Movie Review: 'The Devil's Advocate'" http://www.nydailyne[...] 1997-10-17
[35]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1997
[36] 뉴스 To hell with him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Company 1997-12-07
[37] 간행물 "'Devil's Advocate' falls into 'Sin-and-Scripture syndrome'" https://www.csmonito[...] 1997-10-20
[38] 웹사이트 Why 'The Devil's Advocate' Is Pacino's Most Underrated Film https://www.yahoo.co[...] Yahoo! 2014-12-05
[39] 웹사이트 This Will Totally Change How You See 'The Devil's Advocate' http://www.huffingto[...] Huffington Post Media Group 2016-04-28
[40] 웹사이트 Past Saturn Award Recipients http://www.saturnawa[...] Academy of Science Fiction, Fantasy and Horror Films
[41] 웹사이트 MTV-watchers pick their pix https://variety.com/[...] 1998-04-14
[42] 웹사이트 Sculpture in a Movie Leads to Suit https://www.nytimes.[...] 1997-12-05
[43] 웹사이트 Film studio settles claim over copyrighted sculpture http://www.rcfp.org/[...] Reporters Committee for Freedom of the Press 1998-02-23
[44] 웹사이트 Settlement reached in 'Devil's Advocate' case https://variety.com/[...] 1998-02-16
[45] 웹사이트 Author Andrew Neiderman Talks About V.C. Andrews's Future, 'Devil's Advocate' Prequel And More http://www.ibtimes.c[...] 2014-04-12
[46] 웹사이트 NBC Developing 'The Devil's Advocate' Drama Series Produced By John Wells & Arnold Kopelson NBC https://deadline.com[...] 2014-08-18
[47] 간행물 "'Devil's Advocate' TV series in development at NBC" https://ew.com/artic[...] 2014-08-18
[48] 웹사이트 "'Advocaat van de Duivel' in De Reeehorst" https://web.archive.[...] 2015-11-25
[49] Imdb The Devil's Advocate (1997) - Box Office/business http://www.imdb.com/[...]
[50] Box Office Mojo Box Office Mojo https://www.boxoffic[...]
[51] 서적 うほほいシネクラブ―街場の映画論 文春新書 2011
[52] Imdb The Devil's Advocate (1997) – Box office / business http://www.imdb.com/[...]
[53]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1997) https://www.boxoffic[...] Boxofficemojo.com 2011-02-05
[54] 웹사이트 The Devil's Advocate http://www.benedict.[...] Benedict.com 2011-02-05
[55] 뉴스 Film studio settles claim over copyrighted sculpture http://www.rcfp.org/[...] The Reporters Committee for Freedom of the Press
[56] 뉴스 The Devil's Advocate Movie Review http://movies.nytime[...] New York 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